WEB 개발 환경과 배포 환경 안내1
페이지 정보

본문
php 개발 환경과 svelte(node.js) 환경 비교
php 개발환경은 극단적으로 단순합니다.
우리는 이 단순함에 익숙해서, 다른 프로그램들이 생 고생하고 있는 영역을 php의 축복을 마치 당연한 것으로 받아 들이고 있습니다.
이 개발 환경이 어렵다는 지점을 공략한 수익 사업으로 유명한 vercel 서비스가 있습니다.
React의 next.js와 Sveltekit 를 개발해서 공급하고 있는 회사로도 유명한데, 그누보드 처럼 오픈소스를 배포하고
이를 사용하는데 웹상에 쉽게 배포하기를 원하면 Vercel 서비스를 이용하면, 1줄 설정으로 쉽게 배포가 가능하게 됩니다.
물론 초기에는 무료이지만, 접속자가 많은 본격적인 서비스에서는 가격경쟁력을 잃게 됩니다. 비싸다는 소리죠..
그래서 Svelte 로 개발을 해서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직접 배포하는 방벙에 대한 노하우가 있어야합니다.
제가 이러한 부분을 그누보드 소모임에 잘 정리를 해두었습니다.
구버전은 가서 보시고 오셔도 되고 앞으로 배포 관련 글들을 하나하나 올려드릴 것이지 차근차근 읽어 보시면 구현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우선 그전에 개발과 배포에 페러다임에 대한 변화의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php의 기존 ftp배포 방식은 지금도 물론 많은 개발에 사용이 되지만, 추천하는 방식은 아닙니다.
정식 서비스로 출시전에는 뭐 접속자도 없고하니, 직접 서버 접속해서 코드를 수정하는 방식에 큰 문제는 없겠지만,
본서비스 중에 파일을 바꾼다는 것은 위험한 시도로 분류됩니다. 에러가 날수도 있고, 에러난 부분을 고객이 볼 수도 있고해서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보안 취약한 경우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여러명이 개발이 동시에 참여하게 되면, 형상관리(git 이용) 등의 문제도 있고
실서비스와 개발용 서비스에 대한 구분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현대적인 개발방식은
개발과 배포를 구분합니다.
svelte는 이러한 구분을 했으면서도 개발에 도움이 되는 여러 장치들을 지원해서 개발이 훨씬 수월하게 도와 줍니다.
대표적인 편의 장치는
Live Reload 저장 내용이 실시간으로 웹페이지에 반영
php도 코드를 바꾸고 save 저장으라고 웹페이지를 다시고침을 실행해야 변경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Ctrl+S 와 F5를 자주 누르게 됩니다.
이러한 수고를 Svelte에서는 Live Reload 기능으로 적어도 F5 버튼 누르는 횟수를 없애줍니다.
Ctrl+S 누르면 웹페이지가 뽕하고 변경됩니다.(물론 특정 저장 조건에서는 바로 반영이 안되는 경우도 있음 : 외부 라이브러리 연결후 저장 등)
심지어 하이브리드앱 개발시에도 디바이스 연결후에도 이러한 Live Reload 기능을 지원해서 디바이스 스마트폰 화면이 저장하면 바로 바로 변경되어
sync -> build 하면서 시간걸리는 부분을 획기적으로 줄여서 개발시간을 많이 단축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역설적이게도 배포환경 세팅은 웹보다 앱이 더 단순하고 쉽습니다.
아무튼 개발환경과 배포환경은 구분되어 있다는 부분을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
개발환경(내 개발 컴퓨터에서 가상 웹서버 구동 : 개발 확인용) -> git 에 올림(push , build) -> 배포 서버(node.js 가 돌아가는 환경 : 실제 서비스)
구분은 복잡하지만, 최초에 1회 세팅해 놓으면
기존에 fpt올리 듯이 쉽게 배포가 가능해집니다.
F5를 수시로 누르는 횟수는 줄고, git 서버에 push 함으로 배포가 이루어 집니다.
git 서버에 push를 하면 자체 build를 해서 테스트를 합니다. 혹여나 여려명이 동시에 작업해서 합친 결과물에 이상이 없다 점검하는 부분이
추가된 것입니다. 따라서 본서비스에서 에러가 나는 것이 아니라 그전에 에러를 잡아 본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하는 기능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