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인천 장애인단체, "6.1 지선에서 장애인 시민권 보장정책 필요" 관리자2022.5.25
페이지 정보

본문
인천일보
서영빈 기자( blueprint@incheonilbo.com)
기사출처 :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44038
이현숙 인천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활동가는 12일 남동구 구월동 인천YWCA 대강당에서 열린 ‘6·1 지방선거 정당초청 장애 정책토론회’에서 “인천의 저상버스 도입률은 22.7%로 7대 특·광역시 가운데 6번째를 기록할 만큼 낮다”고 지적했다.
이 활동가는 “일반버스를 탑승할 때마다 죄인이 되는 기분이다. 뒤쪽에서 욕설이 들릴 때도 있고 버스기사도 바쁜 시간대에 이용하지 말라는 소리를 듣기도 한다”며 “저상버스 도입 확대 정책이 펼쳐져야 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신경수 민들레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팀장은 “공공일자리는 소속감과 공동체 의식을 줘서 다른 이들의 무관심으로 인한 고립감 해소에 도움을 주고 있다”며 “저만 해도 이전까지 극심한 스트레스로 병원 응급실에 오갈 정도로 힘들었으나 올해 일을 시작하며 스트레스와 우울감이 많이 줄었다”고 말했다. 최소한 인천의 장애인 공공일자리 규모를 500명 이상 늘리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2022.05.12.
오는 6∙1 지방선거에서 장애인 시민권을 보장하기 위한 저상버스 확대 등 정책 발굴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이현숙 인천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활동가는 12일 남동구 구월동 인천YWCA 대강당에서 열린 ‘6·1 지방선거 정당초청 장애 정책토론회’에서 “인천의 저상버스 도입률은 22.7%로 7대 특·광역시 가운데 6번째를 기록할 만큼 낮다”고 지적했다.
이 활동가는 “일반버스를 탑승할 때마다 죄인이 되는 기분이다. 뒤쪽에서 욕설이 들릴 때도 있고 버스기사도 바쁜 시간대에 이용하지 말라는 소리를 듣기도 한다”며 “저상버스 도입 확대 정책이 펼쳐져야 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저상버스와 같은 이동권 보장 외에도 장애인의 ‘일할 수 있는 권리’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신경수 민들레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익옹호팀장은 “공공일자리는 소속감과 공동체 의식을 줘서 다른 이들의 무관심으로 인한 고립감 해소에 도움을 주고 있다”며 “저만 해도 이전까지 극심한 스트레스로 병원 응급실에 오갈 정도로 힘들었으나 올해 일을 시작하며 스트레스와 우울감이 많이 줄었다”고 말했다. 최소한 인천의 장애인 공공일자리 규모를 500명 이상 늘리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이날 토론회에서 정책 발제를 맡은 인천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장종인 사무국장은 “장애시민의 시민권은 탈시설·자립생활권, 이동권, 노동권, 평생교육권의 기본권 보장을 중심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지선으로 장애인들의 시민권이 제대로 보장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하는 것이야말로 시민다운 삶을 보장하는 출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토론회에는 고유미 노동당 인천시당 부위원장과 김한별 기본소득당 인천시장 후보자가 각 정당을 대표해 참석했다. 박남춘 더불어민주당·유정복 국민의힘·이정미 정의당 인천시장 후보는 불참했다.
- 이전글[언론보도]장애인 단체 “조선일보 탈시설 왜곡·거짓 보도” 정정보도 요구 관리자2022.5.25 25.06.26
- 다음글[언론보도]투쟁결의문_머리카락 한 올 한 올이 민들레 꽃씨처럼 퍼져나가 / 문상민 관리자2022.5.25 25.06.2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